캔들과 거래량의 분석이
트레이딩에 있어 전부라고 할 수 있지만,
추세 전환을 판단하는
보조적 요소중 하나를 꼽자면
다이버전스(divergence)
가격의 흐름과
강도와 관련된 보조지표의
흐름 차이가 발생 했을 때,
이를 다이버전스(divergence)로
판단할 수 있다.
다이버전스는 추세의 전환과
관련된 차트 패턴이다.
다이버전스의 종류

다이버전스의 종류는 크게
Regular와 Hidden으로 나뉘고,
그 안에서
Bullish(상승전환) 패턴과
Bearish(하락전환) 패턴
두가지로 나뉜다.
일반적으로 Regular 보다
Hidden type의 패턴이
신뢰도가 높음
이외에 과장된 상승/하락형 다이버전스와
3중 상승/하락형 다이버전스도 있지만
위 패턴의 변형에 불과하기에 설명은 생략.
Regular Type
Regular Bullish 패턴
가격은 저점을 지속적으로 낮춰가는데
보조지표의 저점은 지속적으로 높아지는 경우
상승 전환의 확률이 높음
Regular Bearish 패턴
가격은 고점을 지속적으로 높여가는데
보조지표의 고점은 지속적으로 낮아지는 경우
하락 전환의 확률이 높음
Hidden Type
Hidden Bullish 패턴
가격은 저점을 지속적으로 높여가는데
보조지표의 저점은 지속적으로 낮아지는 경우
상승 전환의 확률이 높음
Hidden Bearish 패턴
가격은 고점을 지속적으로 낮춰가는데
보조지표의 고점은 지속적으로 높아지는 경우
하락 전환의 확률이 높음
다이버전스
매수/매도의 근거가 될 수 있을까?
다이버전스는
전체적인 흐름을 판단할 때의 하나의 참고 요소로
사용하는 것이 옳다고 생각한다.
매매 전략에 있어 가장 중요한 것은
진입, 청산, 손절의 명확한 기준점인데
다이버전스는 진입, 청산 지점과 손절가의
기준을 잡기에는 모호한 지표이기 때문
그러므로, 다이버전스는
매매 전략으로써 접근하기보다는
보유중인 포지션의
부분 손절/익절의 참고 요소 및
비중 조절의 근거로 사용할 것.